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c26f/btrCMXGdo9J/IdUyBb6Ne8Ug8VxfM9zyH0/img.jpg)
보통 한번 깃허브에 프로젝트를 올려놓으면 계속 같은 레포지토리에 작업을 하기 때문에 사실 깃허브에 프로젝트 올리는 방법을 외우지는 못했고; 새 프로젝트를 올릴때마다 검색해서 찾아보고 올리는데 이번에 올리면서 정리를 하면 좀더 머리에 새겨지지 않을까 해서 정리해봄 1. 깃Git 설치 Git -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/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.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-in GUI tools (git-gui, gitk), but there are several third-party tools for users loo..
학원 수료 후 첫 직장이었던 스타트업 회사에서는 체계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못했기때문에 회사에 입사하면 회사용 깃허브 계정이 필요하다는 것도 몰랐다. 처음 초대장을 받았을때(새로 만든 회사메일으로 받았음에도ㅋㅋㅋ) 너무나 당연하다는 듯이 내 개인 깃허브 계정으로 초대장 수락을 했고 어쩌다보니 그 뒤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도 계속 개인계정으로 연결하게 됐다.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는 이슈관리도 깃허브 이슈를 통해 하고 있기때문에 새로운 이슈나 업데이트가 있으면 이메일이 오는데 개인 계정이 연결된 gmail은 잘 확인도 안하기도 하고, 이상한 광고 알람때문에 window10 알람을 꺼버려서 업데이트 확인이 계속 늦어졌다. 안그래도 커밋이나 이슈 내역을 보면 다들 깃허브 디폴트 프로필사진인데 나만 내 개인 계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aXyC/btrb82zflPI/KmVxHh0y3xKu5HT7mwMYMK/img.jpg)
깃git과 깃허브github를 처음 사용해본것은 올해 초에 스타트업에서 일을 시작하면서부터였다. 뭐... 내가 좀 더 관심이 있었더라면 학원을 다니면서도 검색해보면서 사용법을 익혔을 수도 있겠지만 학원종강전에 수료기준 채우자마자 들어간 회사였기때문에 깃이나 깃허브는 어렴풋이 들어만봤지 한번도 써본적은 없었다. 입사하자마자 구체적인 설명은 다 생략하고(으레 스타트업이 그렇듯이ㅋㅋㅋ) '그냥 그렇게 하면 돼~'해서 설치하고 프로젝트 클론하고 다른분들이 뭐 올렸다고 하면 풀받고 내가 작업한게 완료되면 푸시하고... 뭐가 뭔지 구체적으로 알진 못하지만 아 이게 대충 이런 거구나~하면서 커밋, 풀, 푸시했었더랬다. 그랬다가 최근에 개발 튜토리엉 영상을 보면 터미널에서 사용하는 깃 명령어들이 유난히 많이 보이는 것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