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쥬얼스튜디오코드를 기본 에디터로 사용하게 된지는 꽤 됐는데 그 전에는 브라켓이나 이클립스 등 에디터를 이것저것 사용해왔기때문에 설치할때 기본에디터로 설정하고 설치하지 않았다. 그래서 프로젝트 폴더를 우클릭해도 예전에 기본에디터로 설정해왔던 브라켓만 뜨고 vsCode는 뜨지 않아서 항상 파일 메뉴에서 열거나 드래그 드랍으로 여는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niniz/large/047.gif)
이미 확장 프로그램을 많이 깔아놨기때문에 삭제하고 다시 설치하기에는 너무 귀찮.....
vscode를 재설치하지 않고 레지스트리 설정을 통해 우클릭으로 프로젝트를 바로 vscode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해서 해봤다.
VS Code 기본 에디터 설정, 프로젝트 우클릭 vsCode로 열기
1. vsCode 설치 경로 파악하기(내 컴퓨터 이름 찾기)
비쥬얼스튜디오코드 아이콘 우클릭 > 속성
와 근데 우클릭에 뭐가 저렇게 많이뜨냐...;;
파일 위치 열기 또는 대상칸이나 시작 위치 칸에 Users다음에 오는 내 컴퓨터 이름이 필요하다
2. 레지스트리 등록 파일 수정하기
아래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텍스트를 복사해서 저장한뒤 ★내컴퓨터이름★이라고 써놓은 곳을 모두 실제 내 컴퓨터 이름으로 바꾼다. 참고로 파일 명은 아무거나 저장해도 상관없다.
나같은 경우 위에서 Users다음에 오는 creat를 넣었다. 이때 중요한건 백슬래시(\)를 앞 뒤로 두개씩 넣어줘야한다는 것!
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.00 ; Open files [HKEY_CLASSES_ROOT\*\shell\Open with VS Code] @="Edit with VS Code" "Icon"="C:\\Users\\★내컴퓨터이름★\\AppData\\Local\\Programs\\Microsoft VS Code\\Code.exe,0" [HKEY_CLASSES_ROOT\*\shell\Open with VS Code\command] @="\"C:\\Users\\★내컴퓨터이름★\\AppData\\Local\\Programs\\Microsoft VS Code\\Code.exe\" \"%1\"" ; This will make it appear when you right click ON a folder ; The "Icon" line can be removed if you don't want the icon to appear [HKEY_CLASSES_ROOT\Directory\shell\vscode] @="Open Folder as VS Code Project" "Icon"="C:\\Users\\★내컴퓨터이름★\\AppData\\Local\\Programs\\Microsoft VS Code\\Code.exe,0" [HKEY_CLASSES_ROOT\Directory\shell\vscode\command] @="\"C:\\Users\\★내컴퓨터이름★\\AppData\\Local\\Programs\\Microsoft VS Code\\Code.exe\" \"%1\"" ; This will make it appear when you right click INSIDE a folder ; The "Icon" line can be removed if you don't want the icon to appear [HKEY_CLASSES_ROOT\Directory\Background\shell\vscode] @="Open Folder as VS Code Project" "Icon"="C:\\Users\\★내컴퓨터이름★\\AppData\\Local\\Programs\\Microsoft VS Code\\Code.exe,0" [HKEY_CLASSES_ROOT\Directory\Background\shell\vscode\command] @="\"C:\\Users\\★내컴퓨터이름★\\AppData\\Local\\Programs\\Microsoft VS Code\\Code.exe\" \"%V\"" |
3. 레지스트리 등록하기
윈도우+R 으로 실행에서 regedit을 검색하거나 검색창에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검색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연다
파일 > 가져오기로 2번째 단계에서 저장했던 텍스트 파일을 불러오면 끄읕-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niniz/large/008.gif)
이제 다시 프로젝트로 가서 우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이 vsCode로 열기가 보인다
'TIL_an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.19] PuTTY 퍼티 폰트 글꼴 및 글자 색, 크기 바꾸기 변경 화면 설정 (0) | 2022.07.05 |
---|---|
[TIL.18] 깃허브 저장소(레포지토리)에 프로젝트 올리기 uploading local project to GitHub repository (0) | 2022.05.22 |
[TIL.16] node version down upgrade 노드 버전 낮추기, 바꾸기 nvm status error 오류 해결 for window (1) | 2022.03.15 |
[TIL.15]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알아야할 검색엔진최적화SEO feat.구글 (0) | 2022.02.22 |
[TIL.14] 하드웨어 기초상식. 인프런 제코베. 컴알못이 보는 하드웨어 기초상식. 컴퓨터 조립 커스텀 꿀팁 (0) | 2022.02.13 |